심현수│운용총괄

2022년 2월 24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였습니다.

1940년 이후 주요 전쟁 발발과 미국 S&P 500 지수의 움직임을 통하여, 지정학적 위험으로 인한 증시 급락이 저가 매수의 기회인지 짚어봅니다.


I. 전쟁과 미국 증시


쿼터백은 1940년 이후 주요 전쟁 혹은 전쟁 위기 상황과 S&P 500 지수 움직임을 정리했습니다.

※ 모바일로 확인하실 경우 표를 왼쪽(←)으로 슬라이드 하시면 기간별 수익률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전쟁은 위험 회피 심리 상승으로 증시에 부정적입니다.

또한,
1) 미국이 참전하는 국제 전쟁으로의 비화 여부,
2)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 등에 따라 '전쟁 발발이 단순한 저가 매수 기회'인지 기계적으로 결론을 내리기 쉽지 않습니다.

 

II. 미국 참전 시

자료: Bloomberg, 쿼터백


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이라크전쟁 등 미국이 참전한 경우, 미국 증시는 전비 지출 우려 및 경기 국면에 따라 이벤트 발생 직전 수준을 회복하는데 최소 40일에서 10개월의 시간이 걸렸습니다.


III. 미국 미 참전 시


자료: Bloomberg, 쿼터백


한편, 핵전쟁 우려가 있었던 쿠바 미사일 위기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예고편 격인 크림 사태처럼, 미국의 참전이 없었던 위기 상황에서 미국 증시는 빠르게 이벤트 이전 수준의 지수를 회복한 바 있습니다.

 

IV. 예측보다는, 데이터에 근거한 대응으로


자료: 쿼터백


현재의 지정학적 위기는 단기적으로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미국의 참전 여부와 경기 침체 가능성에 따라 향후 전개될 환경은 아직 불확실합니다.

이럴수록 섣부른 예측보다는 경기 지표, 기업 실적, 시장 심리를 포함한 광범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교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쿼터백은 2월 현재 미국 경기 상승 국면 진단과, 위험자산 선호 시그널을 유지하고 있으며, 오랜 기간 검증된 알고리즘에 따라 흔들림 없는 자산관리에 임하겠습니다.

늘 쿼터백을 믿고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쿼터백 팀 드림


*본 자료는 구체적 상품명 및 시장 자체를 추천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시황/업황의 전망 등 단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본 자료는 정보제공을 위해 작성되었으며, 펀드 등 금융투자상품 판매를 권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