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받을 때도 세금을 내나요?

 

연금꿀팁 1월 두 번째 이야기 국민연금 받을 때도 세금을 내나요?

 

안녕하세요 쿼터백 연금연구소입니다.

지난 연금꿀팁 ‘2023년 달라진 연금 세제’에서 세액공제 대상 납입 한도의 증가뿐만 아니라 연금 수령 시 달라진 과세 방법에 대해서도 말씀드렸었는데요. 그러면 연금을 수령할 때 세금은 얼마나 내야 하는지, 혹시 사적연금이 1,200만 원을 넘어서 세금 폭탄을 맞게 되진 않을지 궁금하진 않으셨나요?

오늘은 연금 수령,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공적연금인 국민연금 수령 시 알아 두면 좋을 연금 꿀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노령연금 수급 요건

노령연금이란 국민연금 가입자가 나이가 들어 소득 활동에 종사하지 못할 경우 지급되는 급여최소 가입기간(연금보험료 납부기간) 10년을 채웠다면 연금 수급 개시 연령이 되었을 때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어요. 
그렇다면 연금을 언제부터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볼까요?

 

노령연금 수급 개시 연령

출생 연도에 따라 노령연금 수급 개시 연령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1968년 9월생이라면 만 64세인 2032년 10월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어요.


또한 국민연금을 수령할 때도 세금을 내야 합니다. 
국민연금을 언제 납입하였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라지는데요.

전체 납입액 중 전액소득공제를 받은 2002년 이후 납입분부터 국민연금 수령 시 세금을 납부해야하는 대상이 됩니다. 여기서 국민연금 가입자가 사망하여 지급받는 사망일시금, 장애연금 및 유족연금 등은 비과세 대상입니다.


국민연금 세금 납부 방법 알아보기

국민연금은 매월 지급 받을 때 과세대상 월 연금액을 기준으로 해당 연금소득 간이세액표(소득세법 시행령 별표 3)를 적용하여 매월 원천징수를 하게 됩니다.

여기서 연금소득 간이세액표는 연금액에 따라 세금을 공제해주는 ‘연금소득공제’, 부양가족 인원수에 따라 세금을 공제해주는 ‘인적공제’, 그리고 근로소득 유무에 따라 세금을 공제해주는 ‘표준세액공제’를 반영하여 계산되어 있습니다.

매월 국민연금을 수령하고 난 뒤에는 국민연금공단에서 연말정산을 하는데요. 1월부터 12월까지 받은 연금액에 대하여 실제로 내야 하는 세액(결정세액)을 정확하게 계산합니다. 만약 원천징수한 세액이 결정세액보다 과하거나 적었다면 연말정산 때 돌려받거나 더 내야 한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내야 하는 세액, 결정세액은 어떻게 구할 수 있는지 알아볼까요?

이해를 돕기 위해 가상의 인물 K씨를 설정했어요. 올해부터 연금을 수령하게 된 K씨는 본인 외에는 부양가족이 없으며 올 한해 동안 1,300만 원을 수령하였습니다. 

K씨가 지급받은 금액 중 700만 원이 과세대상 소득이라고 한다면 K씨는 얼마의 세금을 납부해야 할까요?

 

지급받은 금액 중 과세 대상인 700만 원에서 먼저 연금액에 따라 세금을 공제하는 연금소득공제액을 제합니다. 여기서 K씨는 과세대상 연금액이 700만 원 이하이기 때문에 490만 원이 공제됩니다. 또 K씨는 부양가족이 없기 때문에 1인 기본공제액에 해당하는 150만 원이 추가 공제가 되면서 과세표준액이 60만 원이 되었습니다. 이 금액은 1,400만 원 이하이므로 소득세율 6%를 적용합니다. 마지막으로, 근로소득이 없는 K씨는 7만 원의 표준세액공제를 받아 최종 결정세액은 0원이 됩니다.

따라서 K씨가 국민연금 외에 다른 소득이 없다면, 산출세액이 0원이므로 연말정산으로 종합소득신고를 대신할 수 있답니다.


오늘은 공적연금인 국민연금을 받았을 때 세금은 어떻게 납부가 되는지, 세금은 어떻게 계산이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한 가지 꿀팁을 더 드린다면 ‘부양가족 정확하게 신고하기’입니다. 왜냐하면, 인적공제는 부양가족의 인원수에 따라 공제가 되기 때문인데요. 국민연금공단에 부양가족이 정확하게 신고되어 있지 않다면, 인적공제가 제대로 적용되지 않아 내지 않아도 될 소득세를 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공적연금 외에 사적연금에 속하는 퇴직연금, 연금저축 등은 앞으로 차차 소개해 드릴 테니
계속해서 연금꿀팁을 지켜봐 주세요!

그럼 다음 연금 꿀팁에서 만나요!

 

1월 연금 꿀팁 재미있게 보셨나요?
쿼터백 연금연구소에서는 도움 되는 연금 꿀팁을 계속해서 전해드릴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기대 부탁드립니다. 

지난 콘텐츠는 하단 링크를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