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 계산기

2025년 귀속 종합소득세를 미리 계산해보세요. N잡러, 프리랜서, 개인사업자를 위한 세금 계산기입니다.

📝 STEP 1. 소득 정보 입력

2024년 한 해 동안 발생한 모든 소득을 입력하세요.

회사에서 받은 연봉 (세전 금액)
프리랜서, 개인사업 수입
사업 관련 지출 비용
연금 수령액
강연료, 원고료 등

💵 금융소득 (이자+배당)

💡 금융소득 과세 기준:
2,000만원 이하: 14% 원천징수로 분리과세 (종합소득에 포함 안 됨) + 지방세 1.4%
2,000만원 초과: 종합과세 대상 (비교과세 방식 적용)

연간 이자소득 + 배당소득 합계
✨ 금융소득의 14%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지방세 제외)

➖ STEP 2. 소득공제 항목

소득에서 차감되는 공제 항목들을 입력하세요.

👨‍👩‍👧‍👦 인적공제

배우자 연소득 100만원 이하
20세 이하 자녀, 60세 이상 부모 등

🏥 사회보험료

연간 납입액
연간 납입액
연간 납입액

💳 기타 소득공제

총급여 25% 초과분의 15~40%
주택임차차입금, 장기주택저당차입금 등
연 400만원 한도

💰 STEP 3. 세액공제 항목

세금에서 직접 차감되는 세액공제 항목들을 입력하세요.

자녀세액공제 대상
연금저축 + IRP (연 900만원 한도)
총급여 3% 초과분의 15%
본인 및 부양가족 교육비
2천만원 이하 15%, 초과 30%

📋 추가 정보

원천징수 등으로 이미 납부한 세금
결정세액의 10%

📊 2025년 종합소득세율표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400만원 이하 6% -
1,400만원 초과 ~ 5,000만원 15% 126만원
5,000만원 초과 ~ 8,800만원 24% 576만원
8,800만원 초과 ~ 1.5억원 35% 1,544만원
1.5억원 초과 ~ 3억원 38% 1,994만원
3억원 초과 ~ 5억원 40% 2,594만원
5억원 초과 ~ 10억원 42% 3,594만원
10억원 초과 45% 6,594만원

💡 계산식: 산출세액 =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 이용 안내

종합소득세 계산기 완벽 가이드 2025

🎯 종합소득세란?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1년간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합산하여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근로소득, 사업소득, 연금소득, 이자·배당소득, 기타소득 등 여러 소득을 합산하여 과세하며,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 2025년 종합소득세율표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400만원 이하 6% -
1,400만원 초과 ~ 5,000만원 15% 126만원
5,000만원 초과 ~ 8,800만원 24% 576만원
8,800만원 초과 ~ 1.5억원 35% 1,544만원
1.5억원 초과 ~ 3억원 38% 1,994만원
3억원 초과 ~ 5억원 40% 2,594만원
5억원 초과 ~ 10억원 42% 3,594만원
10억원 초과 45% 6,594만원

* 산출세액 =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 종합소득의 종류

소득 종류 예시 과세 방법
근로소득 급여, 상여금, 수당 연말정산 또는 종합과세
사업소득 프리랜서, 개인사업 수입 종합과세
연금소득 국민연금, 사적연금 분리과세 또는 종합과세
이자·배당소득 예금이자, 주식배당 2,000만원 초과 시 종합과세
기타소득 강연료, 원고료 분리과세 또는 종합과세

📉 주요 소득공제 항목

  • 인적공제: 본인 150만원, 배우자·부양가족 1인당 150만원
  • 국민연금 보험료: 납입액 전액 공제
  • 건강보험료: 납입액 전액 공제
  • 주택자금: 주택임차차입금,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 신용카드 등: 총급여 25% 초과분의 15~40% 공제
  • 개인연금저축: 연 400만원 한도 (소득공제 상품)

💳 주요 세액공제 항목

항목 공제율 한도
연금계좌 납입액 13.2~16.5% 연 900만원
자녀 세액공제 1명 15만원, 2명 30만원 3명 이상 1명당 +30만원
의료비 15% 총급여 3% 초과분
교육비 15% 본인 전액, 자녀 300만원
기부금 15~30% 2천만원 이하 15%, 초과 30%

📈 종합소득세 계산 프로세스

  1. 총수입금액: 모든 소득 합계
  2. 필요경비 차감: 사업소득 필요경비 등
  3. 종합소득금액: 총수입 - 필요경비
  4. 소득공제: 인적공제, 연금보험료, 신용카드 등
  5. 과세표준: 종합소득금액 - 소득공제
  6. 산출세액: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
  7. 세액공제: 연금계좌, 자녀, 의료비, 교육비 등
  8. 결정세액: 산출세액 - 세액공제
  9. 기납부세액 차감: 원천징수세액 등
  10. 납부(환급)세액: 결정세액 - 기납부세액
  11. 지방소득세: 결정세액의 10%

🔍 금융소득 종합과세

금융소득(이자+배당) 2,000만원 초과 시 종합과세 대상

  • 2,000만원 이하: 14% 원천징수로 분리과세 종결
  • 2,000만원 초과: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과세
  • 비교과세: 종합과세액 vs (2,000만원 × 14% + 초과분 × 종합세율) 중 유리한 방법

💡 절세 팁: 금융소득이 2,000만원 근처라면 배우자에게 분산하여 분리과세 유지

💡 N잡러·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절세 전략

  • 사업자등록: 필요경비 공제 확대 (간편장부 또는 복식부기)
  • 연금계좌 최대 활용: 연 900만원 납입으로 최대 148.5만원 세액공제
  • 신용카드 전략적 사용: 체크카드·현금 40% vs 신용카드 15% 공제
  • 부가가치세 환급: 사업 관련 지출 세금계산서 수취
  • 가족 인건비: 실제 근무하는 가족에게 급여 지급 (적정 수준)
  • 노란우산공제: 연 500만원 한도 소득공제 (폐업 시 환급)

📅 종합소득세 신고 일정

구분 신고 대상 신고 기간
성실신고확인 성실신고확인 대상자 5월 1일 ~ 6월 30일
일반 신고 일반 납세자 5월 1일 ~ 5월 31일
기한 후 신고 기간 내 미신고자 6월 1일 이후 (가산세 부과)

⚠️ 주의사항

  • ❗ 무신고 가산세: 산출세액의 20% (부정무신고 시 40%)
  • ❗ 과소신고 가산세: 과소신고세액의 10% (부정과소신고 시 40%)
  • ❗ 납부지연 가산세: 미납세액 × 일수 × 0.022% (1일당)
  • ❗ 성실신고 확인: 수입금액 업종별 기준 초과 시 세무사 확인 필수
  • ❗ 사업소득 간편장부: 복식부기 대상자가 간편장부 작성 시 가산세

✅ 종합소득세 신고 체크리스트

  • ✅ 소득별 원천징수영수증 수령 (근로, 사업, 기타소득 등)
  • ✅ 금융소득 합계 확인 (2,000만원 초과 여부)
  • ✅ 사업소득 장부·증빙 정리
  • ✅ 소득공제 증빙서류 준비 (신용카드, 주택자금, 연금 등)
  • ✅ 세액공제 증빙서류 준비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
  • ✅ 홈택스 간소화자료 확인
  • ✅ 전자신고 시 공인인증서 준비
  • ✅ 환급계좌 또는 납부방법 결정

🔗 관련 키워드

종합소득세 계산기, 종합소득세 신고, 종합소득세율, 5월 종합소득세, 홈택스 종합소득세, 프리랜서 세금, N잡러 세금, 사업소득세, 금융소득 종합과세, 근로소득 종합소득세, 연금소득세, 종합소득세 환급, 종합소득세 세액공제, 종합소득세 소득공제, 종합소득세 절세,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종합소득세 계산방법, 종합소득세 가산세, 종합소득세 납부, 종합소득세 신고기한, 홈택스 신고, 종합소득세 모의계산

나에게 맞는 투자 전략을 확인해보세요

회사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