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 연금계좌 절세 전환 계산기

ISA 만기 자금을 연금계좌로 전환할 때 세제혜택과 유동성을 종합 분석합니다.

1️⃣ 전환 대상 계좌 선택

💡 IRP 선택 시 유동성 정보

  • 중도인출: 원칙적 불가 (만 55세까지)
  • 예외 사유: 무주택자 주택구입, 6개월 이상 요양, 파산/개인회생, 천재지변
  • 장점: 강제 저축 효과, 퇴직금 추가 납입 가능
  • 연간 한도: 1,800만원

2️⃣ ISA 만기 정보

ISA 계좌에서 연금계좌로 전환할 금액 (이전금액의 10%를 추가 세액공제, 최대 300만원)

3️⃣ 소득 및 기존 납입 정보

세액공제율 결정: 5,500만원 이하 16.5%, 초과 13.2%
연간 한도: 1,800만원
연간 한도: 600만원
IRP + 연금저축 합계 (자동계산, 세액공제 한도: 900만원)

4️⃣ 투자 계획

장기 복리 효과 계산용
연금 개시 전까지 운용 기간

5️⃣ 분석 옵션

ISA 연금계좌 전환 완벽 가이드 2025

🎯 ISA → 연금계좌 전환의 핵심 혜택

ISA 계좌 만기자금은 60일이내 연금계좌(IRP 또는 연금저축)로 이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금계좌의 연간 납입한도와 무관하게 이전이 가능하고, 이전금액의 10%(최대 300만원)에 대해 추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계산 예시: ISA계좌 해지 후 연금계좌로 이전 시

  • 1,000만원 이전 → 100만원 추가 연금계좌 세액공제
  • 2,000만원 이전 → 200만원 추가 연금계좌 세액공제
  • 3,000만원 이전 → 300만원 추가 연금계좌 세액공제 (한도 도달)

📊 2025년 연금계좌 세제혜택 한도

계좌유형 연간 납입한도 세액공제 한도 특징
IRP 1,800만원 최대 900만원 한도 퇴직금 추가 납입 가능
연금저축 1,800만원 중도인출 유연
ISA 전환금액 - 이전금액의 10% (최대 300만원 한도) 추가 세액공제

💡 ISA 연금계좌 전환 최적화 전략

이전시점

ISA계좌 3년 경과 후 해지 → 60일 이내 전환 필수

계좌 선택

  • 강제저축 목적 → IRP계좌 (세액공제 미적용 납입액 연금개시 전 인출 어려움)
  • 유동성 중시 → 연금저축 (세액공제 미적용 납입액 연금개시 전 인출 가능)

풍차 돌리기

연금계좌 이전 후 → ISA 재가입 → 3년 의무가입 기간 경과 후 해지 → 연금전환 반복

포트폴리오

장기 투자에 적합한 자산배분

⚠️ 주의사항

① 이전 기한: 만기 후 60일 이내 이전해야 함

ISA 만기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연금계좌로 이전해야 추가 세액공제 혜택 (이전금액의 10%, 최대 30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60일이 지나면 단순 출금으로 간주되어 세액공제 혜택이 소멸됩니다.

② 이전 가능한 대상 계좌 확인

이전은 IRP나 연금저축계좌로만 가능합니다.

일반계좌나 다른 투자계좌로는 이전 불가하며, 반드시 본인 명의의 연금계좌여야 합니다.

→ 퇴직연금계좌(IRP)나 연금저축펀드·보험·신탁 중 선택 가능.

③ 이전 후 인출 제한 및 세제 이연 효과

이전된 금액은 연금계좌 자산으로 편입되므로 중도인출이 제한(IRP)되고, 연금 수령 시점(55세 이후)에 인출해야 저율 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나에게 맞는 투자 전략을 확인해보세요

회사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