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 연금계좌 절세 전환 계산기
ISA 만기 자금을 연금계좌로 전환할 때 세제혜택과 유동성을 종합 분석합니다.
ISA 연금계좌 전환 완벽 가이드 2025
🎯 ISA → 연금계좌 전환의 핵심 혜택
ISA 계좌 만기자금은 60일이내 연금계좌(IRP 또는 연금저축)로 이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금계좌의 연간 납입한도와 무관하게 이전이 가능하고, 이전금액의 10%(최대 300만원)에 대해 추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계산 예시: ISA계좌 해지 후 연금계좌로 이전 시
- 1,000만원 이전 → 100만원 추가 연금계좌 세액공제
- 2,000만원 이전 → 200만원 추가 연금계좌 세액공제
- 3,000만원 이전 → 300만원 추가 연금계좌 세액공제 (한도 도달)
📊 2025년 연금계좌 세제혜택 한도
| 계좌유형 | 연간 납입한도 | 세액공제 한도 | 특징 |
|---|---|---|---|
| IRP | 1,800만원 | 최대 900만원 한도 | 퇴직금 추가 납입 가능 |
| 연금저축 | 1,800만원 | 중도인출 유연 | |
| ISA 전환금액 | - | 이전금액의 10% (최대 300만원 한도) | 추가 세액공제 |
💡 ISA 연금계좌 전환 최적화 전략
이전시점
ISA계좌 3년 경과 후 해지 → 60일 이내 전환 필수
계좌 선택
- 강제저축 목적 → IRP계좌 (세액공제 미적용 납입액 연금개시 전 인출 어려움)
- 유동성 중시 → 연금저축 (세액공제 미적용 납입액 연금개시 전 인출 가능)
풍차 돌리기
연금계좌 이전 후 → ISA 재가입 → 3년 의무가입 기간 경과 후 해지 → 연금전환 반복
포트폴리오
장기 투자에 적합한 자산배분
⚠️ 주의사항
① 이전 기한: 만기 후 60일 이내 이전해야 함
ISA 만기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연금계좌로 이전해야 추가 세액공제 혜택 (이전금액의 10%, 최대 30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60일이 지나면 단순 출금으로 간주되어 세액공제 혜택이 소멸됩니다.
② 이전 가능한 대상 계좌 확인
이전은 IRP나 연금저축계좌로만 가능합니다.
일반계좌나 다른 투자계좌로는 이전 불가하며, 반드시 본인 명의의 연금계좌여야 합니다.
→ 퇴직연금계좌(IRP)나 연금저축펀드·보험·신탁 중 선택 가능.
③ 이전 후 인출 제한 및 세제 이연 효과
이전된 금액은 연금계좌 자산으로 편입되므로 중도인출이 제한(IRP)되고, 연금 수령 시점(55세 이후)에 인출해야 저율 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